반응형

안녕하세요, 그릿ABC입니다.

매월 기록하는 연금 투자 기록입니다. 기록을 통해 변동성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지속해나가 보겠습니다.

수익 현황 - 수익률 +16.18%

*연금은 2016.09.부터 2024.08.까지 만 96개월동안 200천원씩 납입하고 2024.09. 400천원, 2024.10.부터 500천원을 납부하였습니다.

2024.10. 평가금 21,922,261(원금 20,100,000), 원금 대비 9.07% 수익률(+5.92%) [연금저축 2개월차]

2024.11. 평가금 22,605,250(원금 20,600,000), 원금 대비 9.73% 수익률(+0.66%) [연금저축 3개월차]​

2024.11. 평가금 25,094,775(원금 21,600,000), 원금 대비 16.18% 수익률(+6.45%) [연금저축 4개월차]​

 

배당수익 및 이자 - 총 11,645원

- 12.03.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5,520원

- 12.03.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6,125원

 

연금비율 변동

2024.12. 지난 한달간은 별다른 거래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많지 않은 직장인으로써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산이 올라주느 건 너무나 행복한 일일텐데요.

아마도 환율의 영향이 크지 않았는가 싶습니다. 지난 글의 데이터 시점인 '24.11.18. 환율은 1달러 환율은 1,393.50원이었는데요. 이 글의 데이터 시점인 '24.12.17.에는 1,438.20원으로  30%이상 환율이 올라 거의 다 환노출 상품을 담고 있었던 연금저축 계좌의 수익률이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환율은 11월 달 중에서도 변동성을 가지고 조금씩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으나 12월 초 정치적인 이슈로 크게 치솟는 모양새를 보였습니다. 너무나 슬프고 황망스러운 사건이 아니였는가 싶은데요.

이러한 문제가 잘 해결되서 환율도 안정화 되면 일정부분 수익이 떨어지지 않을까 예상이 되지만 빠르게 해결되었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분
2024.10. 2024.11. 2024.12.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TIGER 미국S&P500선물(H)  5,409,400 24.68 - - - -
TIGER 미국S&P500 5,188,300 23.67 6,701,040 29.64 7,623,720 30.38
TIGER 미국나스닥100 7,038,075 32.10 7,266,360 32.14 8,057,235 32.11
KODEX 골드선물(H) 1,641,500 7.49 - - - -
ACE KRX금현물 1,685,500 7.69 3,177,600 14.05 3,360,000 13.39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956,840 4.36 1,468,550 6.49 1,983,520 7.90
TIGER 미국채10년선물 - - 2,008,050 8.88 2,078,175 8.28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 1,979,600 8.75 1,984,500 7.91
예수금 2,646 0.01 2,646 0.01 7,625 0.03
계 / 투자원금
21,922,261
/ 20,100,000
100 22,605,250
/ 20,600,000
100 25,094,775
/ 21,600,00
100

 

 

 

편안한 마음으로 지나갈 수 있는 다음 한달이 될 수 있길 바라 보며 이만 기록을 마칩니다.
반응형
반응형

매월 기록하는 연금 투자 기록입니다. 기록을 통해 변동성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지속해나가 보겠습니다.

 

수익 현황 - 수익률 +9.73%

*연금은 2016.09.부터 2024.08.까지 만 96개월동안 200천원씩 납입하고 2024.09. 400천원, 2024.10.부터 500천원을 납부하였습니다.

2024.09. 평가금 20,217,311(원금 19,600,000), 원금 대비 3.15% 수익률(-0.90%) [연금저축 1개월차]

2024.10. 평가금 21,922,261(원금 20,100,000), 원금 대비 9.07% 수익률(+5.92%) [연금저축 2개월차]

2024.11. 평가금 22,605,250(원금 20,600,000), 원금 대비 9.73% 수익률(+0.66%) [연금저축 3개월차]

배당수익 및 이자 - 총 40,534원

- 11.04 S&P500 분배금 21,320원

- 11.04 나스닥100 분배금 10,260원

- 11.04 미국배당다우존스 2,584원

- 11.04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6,370원

 

연금비율 변동

2024.11. S&P500선물(H)상품을 전량 매도하고 5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던 S&P500지수를 추종하던 ETF의 양을 30%수준으로 줄이고 미국채ETF를 일부 구매하였습니다. 연금을 안전하게 운영하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일부를 분산해보았습니다.

아쉬운 점은 11.05. 미대선에서 트럼프의 승리가 확정된 후 폭등의 수준으로 치솟고 안정화 되고 있는 모습이네요.

또 골드선물(H)에 들고 있던 매물을 현물로 전부 전환해보았습니다. 지난 한달동안은 환노출 상품이 변동성이 상당히 큰 모습이었던 것 같습니다. 10.18.부터 3일간 매일 상당한 수치로 가격이 올랐었는데 30일 이후 하락추세를 보였습니다.

구분
2024.09. 2024.10. 2024.11.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TIGER 미국S&P500선물(H)  10,087,275 49.89 5,409,400 24.68 - -
TIGER 미국S&P500 - - 5,188,300 23.67 6,701,040 29.64
TIGER 미국나스닥100 6,558,990 32.44 7,038,075 32.10 7,266,360 32.14
KODEX 골드선물(H) 1,575,000 7.79 1,641,500 7.49 - -
ACE KRX금현물 1,561,000 7.72 1,685,500 7.69 3,177,600 14.05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198,560 0.98 956,840 4.36 14,68,550 6.49
TIGER 미국채10년선물 - - - - 2,008,050 8.88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 - - 1,979,600 8.75
예수금 236,486 1.17 2,646 0.01 2,646 0.01
20,217,311 100 21,922,261 100 22,605,250 100
이번 한달도 무난하게 지나간 것 같은데요. 금 가격의 변동에 마음이 흔들거리는게 사람 마음이 진짜 갈대 같은 것 같습니다.

원칙을 만들어서 투자하는 삶을 살수 있도록 평정심이나 무심함이 필요할 것 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매월 기록하는 연금 투자 기록입니다. 기록을 통해 변동성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지속해나가 보겠습니다.

 

수익 현황 - 수익률 +9.07%

*연금은 2016.09.부터 2024.08.까지 만 96개월동안 200천원씩 납입하고 2024.09. 400천원, 2024.10. 500천원을 납부하였습니다.

2024.08. 평가금 19,977,236(원금 19,200,000), 원금 대비 4.05% 수익률

2024.09. 평가금 20,217,311(원금 19,600,000), 원금 대비 3.15% 수익률(-0.90%)

2024.10. 평가금 21,922,261(원금 20,100,000), 원금 대비 9.07% 수익률(+5.92%)

*그래프의 2024.08까지의 수익률은 데이터가 없어 펀드 해지 시 수익률 4%를 불입회차로 나눈 추정값임

 

배당수익 및 이자 - 총 2,950원

- 10.04.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1,224원

- 10.11. 예탁금 이용료 1,726원

 

연금비율 변동

2024.09.중순부터 10.까지는 S&P500이나 나스닥100이 상당히 치솟아 오르는 시장이었습니다. 특별한 걸 하지 않고 특별히 거래를 많이 하지 않았음에도 지난 달에 비해 수익이 약 6% 가까이 나며 한 달만에 계좌를 보는 마음이 너무 좋았습니다.

2024.10. 연금자금을 주식시장에 투자한지 2개월차가 되면서 환율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시간이 되었는데요. S&P500의 헷지 상품 절반을 매도하고 환노출 상품을 매수하였습니다. 

환 헷지 상품에서 환노출 상품으로 변경한 이유는 2가지가 있었습니다.

1. 자산배분의 측면입니다. 미국ETF를 투자하는 목적은 부동산 및 원화 현금을 가진 것과 구분하여 미국 시장에 투자함으로 자산배분의 효과를 누리기 위함이라 생각을 했습니다. 때문에 투자 목적성을 생각하면 헷지를 한 상품보다 노출한 상품이 목적에 더 부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경제성장 가능성입니다. 미국은 AI 등 신기술 산업을 선도해가고 있는데요.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장기적으로 급격한 인구감소가 예정되어 있어 저는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해 불안한 마음이 강하더라구요. 그래서 사대적으로 달러화의 강세가 점차 커지지 않을까하는 무서움에 환노출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구분
2024.08. 2024.09. 2024.10.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TIGER 미국S&P500선물(H)  10,142,550 50.77 10,087,275 49.89 5,409,400 24.68
TIGER 미국S&P500 - - - - 5,188,300 23.67
TIGER 미국나스닥100 6,728,850 33.68 6,558,990 32.44 7,038,075 32.10
KODEX 골드선물(H) 1,540,000 7.71 1,575,000 7.79 1,641,500 7.49
ACE KRX금현물 1,555,000 7.78 1,561,000 7.72 1,685,500 7.69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 198,560 0.98 956,840 4.36
예수금 11,221 0.06 236,486 1.17 2,646 0.01
19,977,621 100 20,217,311 100 21,922,261 100

앞으로도 남은 상품들을 점진적으로 환 노출 상품으로 변환해가며 어떤 효과가 있는지 살펴 보면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한달이었네요.

다들 성과가 좋은 한달이셨으면 좋겠네요.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매월 기록하는 연금 투자 기록입니다. 기록을 통해 변동성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지속해나가 보겠습니다.

수익 현황

*연금은 2016.09.부터 2024.08.까지 만 96개월동안 200,000만원씩 납입하고 2024.09. 400,000원 납부하였습니다.

지난달 평가금 19,977,236(원금 19,200,000) 원금 대비 4.05% 수익률

이번달 평가금 20,217,311(원금 19,600,000) 원금 대비 3.15% 수익률(-0.9%)

*그래프의 2024.08까지의 수익률은 데이터가 없어 펀드 해지 시 수익률 4%를 불입회차로 나눈 추정값임

 

연금비율 변동

2024.08.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면서 S&P500선물(H) 50%, 나스닥100 30%, 골드 선물과 현물에 각각 10%씩을 구매하고 몇일 지났을 시점의 비율이 나스닥이 빅테크 기업의 상승에 힘입어 상당히 상승하며, 금의 비율이 일부 변동되었습니다.

2024.09. 추가 납입금을 납입하면서 다우존스100지수를 추종하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에 투자를 했습니다. 2024.09.초에는 엔디비아에 대한 반독점조사 보도가 나오면서 성장에 일부 악영향을 끼친 부분이 반영되었는지 나스닥100과 S&P500선물(H)가 일부 하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2024. 08.까지의 연금 수익률 4.05%에서 -0.9% 빠진 3.15%로 지난 한 달의 연금 운용결과를 나타났습니다.

구분
2024.08. 2024.09.
평가금 비율 평가금 비율
TIGER 미국S&P500선물(H)  10,142,550 50.77 10,087,275 49.89
TIGER 미국나스닥100 6,728,850 33.68 6,558,990 32.44
KODEX 골드선물(H) 1,540,000 7.71 1,575,000 7.79
ACE KRX금현물 1,555,000 7.78 1,561,000 7.72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 198,560 0.98
예수금 11,221 0.06 236,486 1.17
19,977,621 100 20,217,311 100

 

약간의 수익이 떨어지면서 마음은 그냥 연금보험을 유지하는 면이 좋았을까하는 마음이 들더라구요.

사람 마음이란게 갈대 같아서 저는 조금의 손해도 용납이 안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연금은 꾸준히 이어가는 투자라는 점에서 시장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꾸준히 투자해 보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그릿ABC입니다.

주택청약과 관련하여 다양한 전략들을 설명해주는 신문기사들과 정보들을 많이 접하게 되실텐데요.

아직도 많이들 2024.11.1.부로 변경주택청약 월납입금 한도 변경에 대해서 잘 모르실 거 같아 한 번 소개해보도록 하곘습니다.

주택청약 혜택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4.08.11. '주택청약저축 보유 혜택 대폭 강화'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공포하였습니다.

해당 보도자료에는 금리에 따른 청약저축 금리 인상, 대출 금리 인상 몇 혜택적인 부분에 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 중에 이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주택청약의 소득금공제금액 한도의 200만원→300만원 인상(공제금액 80→120)은 '조세특례제한법 제87조(주택청약종합저축 등에 대한 소득공제 등)1항'에 근거하며 2023.12.31.개정됨

기존에는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27조(국민주택의 일반공급)에 해당하는 저축 총액은 '동법 제10조(월납입금을 선납 또는 연체한 경우 등의 처리)5항1호'에 따라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인상하는 안으로 지난 2024.09.30.개정되었으며, 부칙에 따라 2024.11.01. 시행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이에 따른 효과로 주택청약 1순위를 가르는 불입금의 금액이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기존 공공분양 당첨 합격선은 1,500만원 선(SBS))

제27조 1항 1호의 제1순위 산정 기준은 월납입금을 수도권의 경우 12회 이상 납입한자로 정의하고 있습니다(투기과열지구 등 제외)

단순 계산하면 1순위 최소 납입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공공분양 당첨 합격선은 1,500만원 선을 계산하여 불입금액을 단순 2.5배 한다면 아래와 같은 납입금액이 나옵니다.

이는 월 10만원씩 납입했다고 가정한다면 31.25년의 기간을 불입하여야 하는 수준이므로 그다지 현실적이지 않은 금액이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을 납입하는 경우인, 소득공제를 위해 20만원씩 납입하고 있던 분들(약 15년) 납입하셨으면 상당히 압도적인 우위를 가지고 갈 수 있는 금액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이미 주택을 가지고 있는 개인이 주택청약의 당첨을 위해 10만원씩 불입하고 있던 주택청약통장의 가치를 떨어트리고 소득공제를 위해 연 300만원(2024.1.1.부로, 기존 240만원) 불입하고 있었을 무주택자의 청약통장의 가치를 향상해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변경될만한 공공분야 당첨 합격선은 다른 자료를 추가로 검토하여 유추하면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텐데요.

SBS의 인터뷰 결과 "전문가들은 1천 만원 이상인 가입자는 25만원 한도로 올리는게 좋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랜기간 꾸준히 매달 10만원을 부은 강비자들을 공공 분양 청약에서 이기기 어려울 거라고 봤다"고 합니다.

cf. 부칙은 10조 1항 2024.09.30. 개정사항에 따라 2024.11.01. 시행되는 금액의 산정은 같은 조 1항에 따라 이전에 선납된 월 납입금을 산정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고 하니 10만원을 납입하고 계시던 분들은 계산시 참고하시면 될 거 같네요.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SBS. (2024.09.26.). https://v.daum.net/v/20240926070608582. 검색일: 2024.10.24.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그릿ABC입니다.

지금 사용하고 계시는 연금저축이 보험인지 펀드인지 분명히 알고 계신가요?

연금저축보험을 운영하고 계시다면 당장 연금저축펀드로 옮겨야 합니다.

왜 연금저축펀드인가?

연금은 우리 삶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면서 취약한 부분인 노년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할텐데요.

노년기에 추운 방과 배고픔으로 불행한 노후를 보내고 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현재의 소득을 미래의 부로 이전하는 연금정책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돈의 가치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가치가 풍화되기 마련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익성이 필요합니다.

최근 10년(2015~2024)간 소비자물가상승률(출처: 지표누리)

 

문제는 너무 낮은 보험의 수익률 - 한은 기준금리보다 못한 연 0.5% 누적수익률

저는 2016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만 8년, 96회 동안 200,000만원씩19,200,000원을 불입하였습니다.

어떤 분들에게는 작은 금액이고 어떤 분들에게는 큰 금액일 수 있을텐데요. 

그 시간동안 가장 충격적이었던 점은 수익률이 고작 4%밖에 나지 않았다는 것이죠.

연환산을 한다면 매년 0.5%의 누적수익률 밖에 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마저도 2024년 좋았던 시장에서 올라온 수익률이었고 그 전에는 마이너스 수익율~0.x% 수익률만 나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보험에 가입하시고 계신 분들은 수익률을 매번 확인하고 있지 않으실텐데요. 

지금이라도 반드시 수익률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가장 화가 나는 점은 제가 얻은 수익 777,236원보다 150%나 더 많은 1,197,120원이 사업비(운용보수)로 지출되었다는 점입니다.

내 돈은 은행 기준금리보다 낮은 수익률을 내고 있는데 본인들은 더 많은 수익을 얻은 꼴이죠.

 

8년 간의 연금저축보험 수익률

 

연금 저축은 어땠을까? - 고작 4개월 수익률 16.18%*('24.8.22.~12.17.)

* 기존 보험의 4% 누적 수익률을 포함하였음

직장생활을 하면서 수익이 늘었음에도 연금에 추가 불입하지 않은 부분을 반성하고 9월부터 12월까지 각각 40만원, 50만원, 50만원, 100만원을 추가 불입하였습니다.

9월에는 시장이 조금 빠져 수익률이 3%대로 하락하였으나 연말이 들어서며 수익률이 치솟아 불과 4개월만에 16.18%의 수익률을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매달 3%가 넘는 누적수익률을 본 것이죠.

물론 지금 시장이 말도 안되게 상승 추세이긴 했습니다만

지금 같은 시장이라면 30%넘는 수익률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2024년 연금저축 수익률 그래프(8월 이전은 데이터가 없어 수익률을 정률분배함)
연금저축펀드 계좌현황

이런데도 계속 우리가 가입자에게 불이익만 주는 연금저축보험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궁극적인 의문이 필요합니다.

그럼 어떻게 연금저축펀드로 옮겨야 할까?

! 우선 주의해야할 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 간 "이전"을 보험사와 증권사 간 지원을 하기 때문에 해지해서 옮기시면 절대 안됩니다. 해지 시 이제껏 세금 혜택을 본 부분에 대해서 환급해야하기 때문에 절대 해지하지 말고 반드시 "이전"하셔야 합니다.

 

저는 삼성생명→미래에셋증권으로 이전하였으므로 해당 경험을 기준으로 설명드리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미래에셋증권  M-STOCK 어플리케이션

  가. 스토어에서 '미래에셋 증권 M-Stock'을 다운받습니다.

  나. 어플 실행 후 '계좌선택'을 검색해서 해당 모듈 들어갑니다.

 

  다. 하단으로 내려가 '개인연금(신규/이전)'을 선택합니다.

  라. '이전용 개설하기'를 눌러주면 됩니다. * 신규회원이라면 신규를 누르시면 되겠죠?

  마. '타사 연금가져오기'에서 '이전 신청 계좌' 및 '특약 여부' 확인

    - 계좌번호 입력란이 있는데요. 여기에는  '보험증권계약번호' 기입

 

2. 보험증권 계약번호 확인

  가. 삼성생명에 로그인 후 'MY삼성생명' - '계약종합현황'을 누릅니다.

  나. 나타나는 보험내역을 클릭 '보장내용' - 하단의 '보험보증증권'을 누릅니다.

  다. '모바일' 혹은 '이메일'로 편하신 방법으로 받아보시면 됩니다.

3. 받은 '보험보증계약'번호를 다시 미래에셋 어플에 입력하면 계좌 개설 완료!

 

4. 보험사의 연락받기

마지막이 중요합니다. 이제 미래에셋 측에서 삼성생명 측으로 이전 요청이 왔다는 연락을 할 겁니다.

그럼 삼성생명의 담당자 분께서 확인 후 연락가을 주실텐데요. 꼭 전화를 받아주셔야 합니다.

저는 점심 식사 시간 중 이전 요청을 마치고 계좌를 개설했고 익일 아침 8시 50분 경에 확인 연락을 받았습니다.

결론

1. 연금저축보험의 수익구조는 절대 비용을 지불하는 개인에게 유리하지 않다.

2. 자잘한 등락에도 무심할 수 있다면 연금저축펀드가 무조건 유리하다.

3. 불안함을 보충하기 위해서 자산배분형태의 투자가 필요하다.

4.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펀드는 '해지'가 아니라 '이전'을 해야한다.

4. 지금 당장 연금저축보험은 때려치우고 연금저축펀드로 옮기는게 미래의 나를 위하는 일이다.

반응형
반응형

2024년도 미국 시장은 뜨거운 한해였습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S&P500과 나스닥100 지수는 세계경제에서 독주하는 미국의 위상처럼 대단한 에너지를 뿜어냈습니다.

이렇게 뜨겁게 치솟고 나면 지금이 고점은 아닐지, 지금 들어가도 늦지 않은건지에 대한 두려움이 엄습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2025년에도 미국 시장이 좋을 거라고 전망합니다.

과연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전망되는지 5개의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GDP 성장률

IMF는 World economic outlook이라는 이름의 보고서를 분기마다 공시하고 있습니다.

각각 1월, 4월, 7월, 10월에 발표되며, 10월 보고서가 한해를 마무리하며 차년도를 전망하는 보고서기 때문에 가장 중욯나 보고서라고 할 수 있을텐데요.

주요 선진국 중 2025년 전망이 7월 대비 10월에 상향 조정된 국가는 미국과 일본 두개 뿐인데요.

미국은 기존 1.9%에서 2.2%로 +0.3%로 전망치가 올라갔습니다. 

구분 국가 2025 전망(10월) 7월 대비
주요
선진국
미국 2.2 +0.3
유로존 1.2 -0.3
일본 1.1 0.1
영국 1.5 0.0
캐나다 2.4 0.0
아시아 선진국 우리나라 2.2 0.0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
중국 4.5 0.0
6.5 0.0

 

2. 레드 스윕(Red Sweep)

레드 스윕은 빨강을 상징색으로 하는 미국 공화당이 대통령, 상하원을 싹쓸이 한다는 의미입니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며 곧 트럼프 2기가 시작되는데요. 

이번 미국 선거에서는 트럼프의 여당인 공화당이 상원 과반 50석, 하원 과반인 218석을 초과하여 상원 53석, 하원 220석을 차지했습니다.

의회의 상하원의 과반을 넘은 상황에서 트럼프의 공약을 담은 행정부의 정책은 손쉽게 의회를 통과할 것으로 전망되며 추진하기 수월할 것입니다.

그 중에서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이 바로 감세 정책입니다.

2017년 트럼프 1기 때 추진한 법인세를 절감하는 정책은 2025년 만료가 될 예정인데요. 

정부 이양이 완료 되면 아마도 이 정책이 가장 빨리 추진되어 기업의 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탄탄한 고용지표

실업율은 중요한 경기 지표 중 하나입니다. 경제 활동 인구가 많으면 시중의 통화량이 높아지고 이는 곧 소비와 직결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고용지표를 보여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탄탄한 가계소비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경제 전반에 안정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4. 미국 금리 기대감

  현재 미국의 금리는 세계 최고 수준에 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에서 경제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FED(미국연방준비제도)는 2024년까지 긴축 정책의 추진해왔는데요.

  인플레이션 안정화와 경제성장에 따라 2025년에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습니다.

  금리를 인하하면 가계와 기업에 부채 부담이 완화되기 때문에 투자와 소비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AI의 성장

2025년에도 인공지능 사업은 강세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이긴 하지만 이제는 AI가 가져다주는 생산성 혁신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뗄레야 뗄 수 없는 기술이 되어 가고 있다는 생각이드는데요.

미국 이러한 AI혁신의 최우선에 서있죠. 매그니피센트7 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전세계의 AI 기술을 선도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이상 GDP 성장률 기대감, 정책적 변화, 탄탄한 고용지표, 금리 인하 기대감, AI 혁신 등이 미국 경제를 이끄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 예상하는데요.

이러한 요소들의 시너지 효과로 앞으로 한 해도 미국 경제가 세계경제의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